'쇼핑카트' 아이콘은 왜 항상 오른쪽 위에 있을까? - UX 디자인이 만든 소비 패턴


쇼핑할 때 장바구니 버튼이 어디 있는지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오른쪽 위’를 눌렀을 거예요. 그런데, 이게 왜 늘 그 자리에 있을까요?

우리가 너무 익숙해서 의식하지 못했던 이 디자인의 위치, 사실은 UX/UI 디자이너들이 사용자의 시선과 심리를 분석해 결정한 결과입니다.
오늘은 ‘쇼핑카트 아이콘은 왜 오른쪽 위에 있는지’ 그 이유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사용자의 ‘시선 흐름’을 고려한 배치

사람은 화면을 볼 때 대부분 왼쪽 상단 → 오른쪽 상단 → 좌하단 → 우하단 순으로 시선을 이동합니다. 이 흐름은 흔히 F-패턴 또는 Z-패턴이라고 불리며, 수많은 웹사이트 테스트를 통해 입증된 사용자 행동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이트는 브랜드 로고와 주요 메뉴를 왼쪽 상단에, 구매 버튼이나 장바구니 같은 행동 유도 버튼은 오른쪽 상단에 배치하죠.

이 구조는 단순히 보기 편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찾도록 유도하는 UX 전략입니다.

2. ‘쇼핑카트’는 단순 아이콘이 아닌 행동 버튼

많은 분들이 장바구니 아이콘을 단순한 표시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사실 장바구니는 ‘클릭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액션 버튼’입니다.

UX 디자인에서는 이런 액션 버튼을 가장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점을 고려해, 오른쪽 상단은 클릭 동작까지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죠.

모바일 환경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손 조작을 기준으로 할 때 엄지손가락이 가장 자연스럽게 닿는 위치가 바로 오른쪽 상단입니다.

그래서 쇼핑앱에서도 장바구니는 보통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에 고정되곤 합니다.

3. 사용자 학습(UX Pattern)의 힘

우리는 다양한 쇼핑몰과 앱을 이용하면서, “장바구니는 오른쪽 위에 있다”는 UX 패턴을 이미 무의식적으로 학습했습니다.

이처럼 반복적으로 경험한 위치는 뇌 속에 일종의 ‘디지털 지도’처럼 남게 되죠.
그래서 다른 곳에 있으면 오히려 불편하거나, 찾지 못하고 이탈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실제로 A/B 테스트 결과, 장바구니를 왼쪽 아래에 배치했을 때 이탈률이 높아진 사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자 습관은 브랜드가 새로 생겨도 거의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4. UX 디자인의 ‘일관성’은 신뢰로 이어진다

쇼핑몰 이용 시 ‘찾기 어려운 버튼’은 바로 불편함으로 이어집니다. 그 불편함이 반복되면, 사용자 신뢰도까지 떨어지게 되죠.

그래서 많은 디자이너들은 ‘창의적인 디자인’보다도, 사용자에게 익숙한 패턴을 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쇼핑처럼 전환율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기존의 UX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판매와 직결되기 때문에 더더욱 신중한 배치가 필요합니다.

5. Q&A – 쇼핑카트 아이콘 위치에 대한 궁금증

Q. 꼭 오른쪽 위에 있어야 하나요?
그렇진 않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사용자들이 그 위치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 두면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Q. 모바일 쇼핑 앱에서 우측 하단에 있는 경우도 있던데요?
맞아요. 최근에는 ‘플로팅 버튼’처럼 화면을 따라다니는 형태로 하단에 배치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여전히 오른쪽에 위치하죠.

Q. UI를 새롭게 구성하고 싶은데, 위치 바꾸면 안 되나요?
사용자 테스트를 충분히 거친다면 새로운 시도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존 UX 규칙을 무시한 변화는 이탈률 증가나 사용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마무리 – 우리가 무의식 중에 따르는 디자인의 법칙

쇼핑할 때 장바구니를 누르는 단순한 행동 뒤에도, 수많은 UX 테스트와 사용자 행동 분석이 숨어 있습니다.

‘쇼핑카트는 오른쪽 위에 있다’는 이 단순한 사실이, 사실은 인터페이스 디자인, 소비 심리, 사용자 편의성까지 반영한 결과라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다음에 쇼핑을 하다가 장바구니 버튼을 클릭할 때,
그 위치에 담긴 수많은 UX 디자이너들의 고민과 선택을 한 번 떠올려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상 흐름이 어색하다면? 트랜지션으로 편집 완성도 높이기

색깔에도 성격이 있다? 감정을 움직이는 컬러 심리학과 디자인 활용법

샷(Shot)이란? 영상편집에서 컷으로 감정과 정보를 전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