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앱 디자인, 왜 파란색은 없을까?
다이어트 앱에서 파란색이 잘 사용되지 않는 이유,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색상 심리학을 기반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컬러 전략이 UX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봅니다.
색상이 우리의 식욕을 자극하거나 억제한다?
아침에 커피 한 잔을 마시며 무심코 켠 다이어트 앱. 그런데 어느 순간 눈에 띄는 건 ‘파란색이 거의 없다’는 사실입니다. 왜일까요?
색상은 단순한 시각 요소가 아니라, 감정과 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심리적 자극입니다. 이를 다루는 분야가 바로 색상 심리학(Color Psychology)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식욕을 자극하고, 노란색은 에너지와 활동성을 나타내며, 녹색은 건강과 신선함을 연상시킵니다. 이런 색들은 음식이나 건강 관련 마케팅에 자주 쓰이죠.
하지만 파란색은 그 반대입니다. 식욕을 줄이는 색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는 이를 '비자연적' 색으로 인식해 섭취 욕구를 떨어뜨립니다.
이러한 심리는 디자인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됩니다.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는 ‘비주얼 전략’의 핵심이 바로 색입니다.
파란색이 식욕을 줄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파란색은 차가운 느낌 때문일까요? 실제로는 훨씬 더 깊은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우리의 진화적 본능과 관련되어 있죠.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음식은 따뜻한 계열의 색을 띱니다. 예: 빨간 사과, 노란 바나나, 주황색 당근 등. 이러한 색상은 뇌에 ‘먹을 수 있는 것’이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반면 자연 상태에서 파란색을 띠는 식품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뇌는 파란색 음식에 대해 경계하거나 식욕을 억제하게 됩니다.
실제로 일부 실험에서는 파란 조명 아래에서 식사한 사람들이 섭취량을 줄이는 경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색은 무의식에 직접 작용하는 강력한 디자인 도구입니다.
그래서 다이어트 앱은 어떤 색을 사용할까?
이제 다이어트 앱을 떠올려보세요. Noom, MyFitnessPal, 칼로리 밸런스 등의 대표 앱들은 파란색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색상을 선택합니다:
- 녹색: 건강, 신선함, 자연
- 주황색: 활기, 운동, 동기 부여
- 중성톤 (흰색, 회색): 부드러운 시각 자극과 심리적 안정
이 색상들은 단순히 보기 좋아서 선택된 것이 아닙니다.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고, 음식에 대한 자제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죠.
반대로 파란색은 신뢰나 차분함을 상징하기 때문에 금융, 업무, 기술 앱에서 더 많이 사용됩니다. 식욕 조절이라는 목표와는 맞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트 앱에서는 의도적으로 배제됩니다.
결론: 색의 선택은 심리적 설계다
우리가 무심코 넘기는 앱 속 색상 하나하나가, 사실은 매우 전략적인 설계라는 사실. 놀랍지 않나요?
다이어트 앱에서 파란색이 배제되는 이유는, 사용자의 무의식에 영향을 주기 위한 설계 전략입니다. 식욕을 억제하고 건강한 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심리적 도구죠.
UX 디자이너나 앱 기획자, 혹은 색채 디자인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처럼 색상이 사용자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꼭 이해해야 합니다. 그것만으로도 훨씬 설득력 있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으니까요.
다음번에 앱을 기획할 때, 어떤 색을 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셨죠?
자주 묻는 질문 (FAQ)
Q. 모든 파란색이 식욕 억제를 유도하나요?
A. 모든 파란색이 무조건 식욕을 억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푸른 계열은 따뜻한 계열보다 덜 식욕을 자극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Q. 일부 다이어트 앱에서 파란색이 보이는 이유는?
A. 일부 앱에서는 보조 색상이나 아이콘, 배경 요소로 파란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메인 UI 컬러로는 거의 선택되지 않습니다.
Q. 색상 외에도 식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A. 음식 사진, 사용자 리뷰, 앱의 조작성, 타이포그래피 등도 함께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색상은 가장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시각 요소입니다.
💡 지금 해보세요!
내가 자주 쓰는 다이어트 앱에는 어떤 색이 주로 사용되고 있나요? 오늘부터 한번씩 색을 관찰해보세요. 단순한 디자인 같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심리학적 설계가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북마크해두고 다른 디자인 주제도 함께 살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